반응형

업데이트 내역을 살펴보니 가상 RAM크기 설정이라는 항목을 확인.

램플러스 메뉴로 들어가보니

램플러스 용량을 선택할 수 있게 바뀌었다.

8기가를 선택하니

다시 시작하라는 메뉴가 나온다.

나는 게임을 하지 않고 노트20 울트라는 램이 12기가이기 때문에 램문제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나에게는 내장플래시메모리 수명을 깎아먹고 병목현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램플러스가 필요가 없다.

램플러스 사용을 안 하려는데 끌 수가 없다. PC 램을 늘리고 가상메모리를 꺼버리거나 최소화 하는 편인데 작은 폰에서 이런 강제사항이 발생하니 참으로 거슬릴 따름이다.

노트20울트라는 UFS 3.1 규격의 플래시메모리 256기가, LPDDR5 규격의 메모리 12기가가 탑재되어 있다.

규격상 속도비교를 해보자면 UFS 3.1 규격의 쓰기속도는 초당 150메가바이트이고 LPDDR5의 규격의 쓰기속도는 초당 1500메가바이트로

대략적인 속도차이가 10배가 난다.

가상메모리의 작동원리는 램이 부족하면 다른 어플이 사용하던 램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저장장치에 옮겨서 램의 용량을 확보해서 사용한다.

다른 어플을 실행하면 위의 작업이 반복된다.

그런데 플래시메모리와 램의 속도차이 때문에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어플을 실행해서 300메가의 데이터를 램에 올린다고 가정하면

플래시메모리의 읽기속도를 150메가라고 했을 때 2초가 걸린다.

그런데 램용량이 부족해서 가상메모리를 쓰게 된다면 램에 있는 300메가를 확보하기 위해서 램의 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에 옮기는데 2초가 걸린다. 그리고 어플에서 쓸 데이터를 램에 올리는데 2초가 걸린다.

결국 실행하는데 2배의 시간이 걸린다. 게임의 경우 1기가 이상의 용량을 사용하므로 훨씬 실행속도가 느려지고 게임 중에 데이터를 새로 읽어서 램에 옮길 때마다 느려지게 된다.

(이런 속도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는 어플들을 중지해놓지 않고 종료시키는데 '앱리프레시'라고 한다.)

램이 적으면 램플러스가 나름 효과가 있을 것 같긴 하다.

그러나 램이 12기가인 폰에서는 과연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고

UFS 3.1이 아닌 규격의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는 폰들의 경우 병목현상이 더욱 심할 것이다.(UFS 3.0과 eMMC5.1은 쓰기속도가 초당 50메가이고, 그 이하의 규격들은 더 느리다.)

또한 잦은 쓰기반복으로 인하여 플래시메모리의 수명 또한 단축되기 마련인데 과연 추후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두고 볼 일.

반응형
반응형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기반이다.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가상메모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https://namu.wiki/w/%EA%B0%80%EC%83%81%20%EB%A9%94%EB%AA%A8%EB%A6%AC

위 링크의 내용 중 일부를 인용하자면

"안드로이드(운영체제)에서도 리눅스 기반이다보니 이러한 스와핑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리가 부족한 저가형 기기를 위해 Android 4.4부터 zRAM이 적용되었으나[5], Android 6.0부터는 넥서스 5X넥서스 6P와 같은 플래그쉽 기기에 적용[6]되기 시작되었고,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RAM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사 스마트폰에 가상 메모리 기술을 도입하거나 도입 계획하면서 스마트폰 업계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 삼성전자삼성 갤럭시 시리즈에서는 2020년부터 RAM Plus라는 이름으로 해당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가상메모리가 있는데 가상메모리 기능을 굳이 이름을 붙여서 추가했다???

뭔가 이상하다.

https://velog.io/@woga1999/%EC%95%88%EB%93%9C%EB%A1%9C%EC%9D%B4%EB%93%9C-%EB%A9%94%EB%AA%A8%EB%A6%AC-%EC%9E%AC%EC%83%9D%EC%84%B1

위 링크의 내용 중 일부를 인용해보면

" storage

파일 시스템, 모든 앱 및 라이브러리, 플랫폼에 포함된 개체 코드와 같은 영구 데이터가 모두 포함됩니다. 저장소는 다른 두 메모리 유형보다 용량이 훨씬 큽니다. Android에서는 저장소가 다른 Linux 구현에서처럼 스왑 공간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빈번한 쓰기 작업으로 메모리에 마모가 발생하고 저장소 매체의 수명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드와는 달리 반도체 기반의 메모리는 쓰기 수명이 매우 짧다.

SSD가 대표적인데 SSD는 쓰기횟수를 카운트 따로 카운트 하여 일정 카운트가 넘어가면 다른 곳으로 데이터를 옮겨서 전체적인 쓰기 횟수를 관리한다.(250기가 기준, 표시용량은 250기가 / 실제용량은 작업용 공간 때문에 270기가 정도 된다고 함.)

폰에서 위의 작업을 할 것인가가 의문이고

램 12기가면 충분한 용량인데 해당 기능을 강제한다??

폰 망가지라고 의도하는 것이 아닌가 싶은 의심이 든다.

 
반응형

+ Recent posts